작성일 : 14-03-29 17:45
우리도 모르는 한국인 이야기 (34) - 한국인의 소비 행태 조사 결과는?
|
|
글쓴이 :
최고관리자
 조회 : 1,502
|
2009년 1월 16일(금) YTN FM 94.5MHz 출발 새 아침 → 원문보기
▶ 우리도 모르는 한국인 이야기 (34) - 한국인의 소비 행태 조사 결과는?
앵커] 네. 통계를 통해 한국인들의 삶의 모습을 들여다보는 "우리도 모르는 한국인 이야기" 시간입니다. 한국 갤럽의 배남영 차장님 스튜디오에 모셨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배남영] 네, 안녕하세요.
앵커] 오늘은 어떤 자료를 준비하셨나요?
배남영] 오늘은 소비자 행태 조사결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앵커] 소비자 행태 조사란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배남영] 소비자 행태조사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매체 접촉 및 소비자 행동에 관한 전국단위의 마케팅조사입니다. 한국방송광고공사에서 1999년부터 매년 조사를 진행해 발표해 오고 있습니다.
앵커] 마케팅 조사라고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배남영] 여론조사는 크게 사회조사와 마케팅 조사로 구분되는데요. 사회조사는 정부공공기관, 언론사 등에서 정책이나 현안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는 조사이고요. 마케팅 조사는 기업체에서 마케팅을 위해 진행하는 조사인데요. 구체적으로 말씀 드리면 마케팅 관련 문제에 대해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분석하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앵커] 조사가 어떻게 진행되었나요?
배남영] 2008년 5월부터 6월까지 서울 및 6대광역시, 33개 중소도시에서 만 13세이상 64세 이하 남녀 6,000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습니다.
앵커] 어떤 내용이 조사가 되었나요?
배남영] 소비자 행태 조사는 크게 인구통계학적 특성, 라이프스타일, 매체이용행태, 제품이용행태 등을 조사했습니다.
앵커] 그럼, 조사내용이 많을 것 같은데요. 오늘은 어떤 내용 주로 알아보는 건가요?
배남영] 오늘은 광고 및 광고 모델선호도, 라디오 청취행태에 대해서 알아 볼려고 합니다.
앵커] 라디오 청취행태도 재미있겠는데 좀 뒤에 알아보도록 하고요. 먼저 광고 선호도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배남영] 조사시점인 2008년 5월부터 6월에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기억하는 광고는 ‘SHOW’8%, ‘T-라이브/생각대로 T' 7% 등 이동통신 관련 광고가 가장 많았습니다. 그 다음으로 ‘하이마트’ 4%, ‘LG 싸이언’,‘SK 텔레콤’, ‘애니콜’등이 3%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 휴대폰 단말기 회사가 광고를 많이 하죠! 다음으로 광고모델 선호도, 어떤 결과가 나왔습니까?
배남영] 선호하는 광고모델을 남자, 여자로 구분해 보았는데요. 선호하는 여자 광고모델은 김태희가 12%로 가장 많았고요. 그 다음으로 이영애 7%, 이효리 5%, 전지현 4%, 김희애 2%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외에 송혜교, 고두심, 현영, 소년시대, 이나영 씨가 10위안에 들었습니다.
앵커] 이영애씨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연속 1위를 차지한 것을 알고 있는데요. 처음으로 김태희가 이영애를 누르고 1위가 되었네요. 남자모델은 어떻습니까?
배남영] 장동건이 10%로 가장 많았고요. 그 다음으로 유재석 3%, 조인성 2%, 비 2%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외에 안성기, 차승원, 이순재, 정준호, 태진아, 배용준씨가 10위안에 들었습니다.
앵커] 유재석씨는 최근의 인기를 반영하듯 개그맨중에서 유일하게 남녀 합쳐 10위안에 들었네요. 광고모델 선호도가 성/연령별로 차이가 있을 것 같은데요.
배남영] 여자 광고모델 중 김태희는 남자 30대이하, 여자 10대에서 가장 인기가 많았고요. 이영애는 남자 40대이상, 여자 50대이상, 장동건은 여자 20대부터 40대사이에서 가장 인기가 좋았습니다.
앵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광고는 어떤 유형인지도 궁금한데요?
배남영] 광고유형별로 가장 선호하는 광고를 3개까지 응답받았는데요. ‘유머/재미’가 83%로 가장 많았고요. 그 다음으로 ‘유아/어린이 등장’ 76%, ‘전통/인간적 유대감’ 76%, 일반소비자 등장‘ 73%, ’유명연예인 등장‘71% , ’동물등장‘ 67%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라디오 청취행태에 대해서 알아보셨다고 했죠. 요즘 미디어 매체가 다양해 지는데도 라디오 들으시는분들 많으시죠?
배남영] 라디오 청취자는 37%로 나타났고요. 하루 평균 라디오 청취시간은 평일은 1시간 40분, 토요일 1시간 20분, 일요일은 40분으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주말에는 댁에서 TV를 더 많이 봐서 그런가요. 주말보다는 평일에 라디오를 더 많이 듣네요.
배남영] 평일과 일요일은 여자, 토요일은 남자의 라디오 청취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았고요. 남녀 모두 50대 이상의 라디오 청취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았습니다.
앵커] 어떤 유형의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듣나요?
배남영] 가장 즐겨듣는 프로그램 유형을 물어 보았는데요. ‘국내외 대중음악’이 31%로 가장 많았고요. 그 다음으로 ‘종합와이드 프로’ 20%, ‘교통정보’ 15%, ‘뉴스’11%, ‘시사/칼럼/경제’가 7%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라디오를 많이 듣는 장소는 어디인가요?
배남영] 라디오를 가장 많이 청취하는 장소를 물어 보았는데요. ‘자가교통수단’이 44%로 가장 많았고요. 그 다음으로 ‘집’ 24%, ‘학교/직장’ 17%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계층별로 차이가 있을 것 같은데요.
배남영] 남자는 ‘자가교통수단’이 60%로 가장 많은 반면, 여성은 ‘집’이 44%로 가장 많았습니다. 연령별로는 남자 10대에서 집에서 청취하는 사람이 많은 반면, 자가용 이용자가 많은 30세이상은 자가교통수단에서 라디오를 많이 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은 전 연령층에서 ‘집’이 상대적으로 많았습니다.
앵커] 라디오를 듣는 이유 혹시 조사해보셨습니까?
.
배남영] 라디오를 ‘습관적으로 듣는’ 사람이 32%로 가장 많았고요. 그 다음으로
‘지루함 해소’ 24%, ‘정보/지식습득’ 16%, ‘흥미/오락’ 12%,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라디오를 습관적으로, 지루함 해소 때문에 듣는 사람이 많은 것 같네요. 앞으로 더욱 유익하고 재미있는 방송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라디오 광고에 대해서는 어떻습니까?
배남영] 라디오 청취자들의 53%가 광고를 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라디오 광고의 장점으로 타매체에 비해 ‘친근감을 준다’는 응답이 26%로 가장 많았고요. 그 다음으로 ‘이동중 청취가능’ 19%, ‘상상력을 더 자극함’ 16%, ‘덜 부담스럼움’ 15%, 'CM 송 등이 재미있음‘ 13%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TV와 라디오 광고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알아보셨다고요?
배남영] TV에서 본 광고를 라디오에서 들을 경우 부분적으로 연상이 되거나 봤던 느낌을 주는 연상효과가 8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TV 광고와 라디오 광고를 동시에 하면 시너지 효과가 있다는 거네요.
배남영] 그렇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앵커] 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한국갤럽의 배남영 차장과 함께 소비자 행태 조사결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