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4-03-29 17:36
우리도 모르는 한국인 이야기 (18) - 한·중·일 3개국 인터넷 이용 실태
|
|
글쓴이 :
최고관리자
 조회 : 1,450
|
2008년 9월 19일(금) YTN FM 94.5MHz 출발 새 아침 → 원문보기
▶ 우리도 모르는 한국인 이야기 (18) - 한·중·일 3개국 인터넷 이용 실태
앵커] 네, 통계를 통해 한국인들의 삶의 모습을 들여다보는
"우리도 모르는 한국인 이야기" 시간입니다. 한국 갤럽의 배남영 차장님 스튜디오에 모셨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배남영] 네, 안녕하세요.
앵커] 어느덧 9월 하순으로 접어 들고 있는데요. 날씨는 여전히 여름인 것 같아요. 오늘은 어떤 자료를 준비하셨나요?
배남영] 앵커님께서는 하루에 인터넷을 몇시간 정도 사용하시나요?
앵커] 글쎄요. 회사에서도 하고, 집에서도 하니 한 5~6시간 정도 하는 것 같습니다.
배남영] 한국 인터넷 진흥원에서 한.중.일 인터넷 이용 실태 비교 자료를 발간했는데요. 오늘은 한. 중. 일 3개국의 인터넷 이용실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앵커] 조사가 어떻게 진행되었나요?
배남영] 한국은 2007년 12월에 전국의 10,000 가구를 면접 조사했고요. 일본은 올해 1월에 3640가구를 우편조사, 중국은 작년 12월에 46,300명을 전화조사로 진행했습니다.
앵커] 2007년 기준으로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수가 14억 7,000만명, 아시아 인터넷 이용자수는 6억 9,000만명 인데, 2000년 대비 세계적으로 10억 8,000만명정도 증가했다고 하는데요. 한중일 3개국의 인터넷 이용율이 차이가 있었나요?
배남영] 한중일 3국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3억 3 800만명이라고 합니다. 인터넷 이용율은 우리나라가 76.3%, 일본은 74.4%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요. 다만, 중국은 16.0%로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하지만 인터넷 이용자수로 볼 때는 중국이 2억 1000만명으로 우리나라의 6배정도입니다. 일본은 8,800만명, 우리나라는 3,500만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한중일 3개국의 인터넷 이용수준이 아시아뿐 아니라 전세계에서 앞서고 있는데요. 연도별로 많이 증가했나요?
배남영] 2000년과 비교할 경우, 일본의 인터넷 이용률이 37.3%P로 가장 크게 증가했고요. 다음으로 한국이 31.6%P, 중국이 13.9%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인터넷 이용율이 성별로 차이가 있었나요?
배남영]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는데 남자가 조금 더 많았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남자 81.7%, 여자 70.9%로 남자가 10.8%P 많았고요, 중국은 남자 17.7%, 여자 14.1%, 일본은 남자 78.2%, 여자 70.6%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연령별로는 차이가 있을 것 같은데요?
배남영] 네, 한국은 40세이하 젊은 연령층은 90%이상으로 높은 반면, 40대 76.3%, 50대 42.9%, 61세이상 16.8%로 연령이 많을수록 이용자는 적었습니다. 중국은 18-24세 43.4%, 25-30세 25.4%, 31세 이상은 15%미만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 역시 39세이하에서는 90%이하로 많았고요, 고연령층일수록 이용자가 적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는 인터넷 이용할 때 요즘 대부분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죠. 국가별로 차이가 있었나요?
배남영] 말씀하신 것처럼 우리나라의 초고속 인터넷 이용률이 99.8%로 대부분이었고요. 중국이 77.8%, 일본 66.1%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인터넷을 이동전화를 포함한 무선단말기로 접속하는 비율은 어떤가요?
배남영] 일본이 82.7%로 많았고요, 우리나라는 47.3%로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앵커] 인터넷은 주로 집에서 많이 사용하나요? 이용 장소가 국가별로 차이가 있었나요?
배남영] 한 ? 중 ? 일 3국 모두 주된 인터넷 이용장소는 가정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 96.2%, 일본 85.6%로 인터넷 이용자의 85% 이상이 가정에서 인터넷을 이용하고, 중국은 67.3%가 가정에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넷 카페에서 이용하는 경우는 중국이 33.9%로 많고, 한국 21.4%, 일본 5.3%로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앵커] 이메일 사용에 대해서도 알아보셨다고요?
배남영] 한국 인터넷 이용자의 82.4%가 이메일 이용자인 반면, 중국의 이메일 이용률은 56.5%, 일본 48.2%로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앵커] 요즘 메신저로 커뮤니케이션 하시는 분들 많으신데요?
배남영] 중국의 경우 메신저 이용률이 81.4%로 이메일 이용율보다 24.9%P 많았고요. 한국은 47.8%로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실제 중국 인터넷 발전에 관한 통계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인터넷 이용자의 39.7%가 인터넷 접속시 가장 먼저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인터넷 쇼핑, 뱅킹, 주식거래 등 경제활동은 어떤 차이를 보였나요?
배남영] 한국, 일본 인터넷 이용자중 인터넷 쇼핑비율은 51.4%, 48.9%로 상대적으로 많았고요. 중국은 22.1%로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인터넷 뱅킹 이용자는 한국이 34.9%로 중국 19.2%보다 많은 반면, 인터넷 주식거래자는 중국 18.2%로 한국4.8%보다 많았습니다. 일본은 인터넷 뱅킹이나 주식을 하는 사람이라 10.2%로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앵커] 인터넷 게임도 국가별로 차이가 있었나요?
배남영] 한국 62.1%, 중국 59.3% 등 인터넷 이용자의 절반이상이 인터넷을 통해 게임을 하거나 게임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일본의 인터넷 게임 이용자는 7.7%로 적었습니다.
앵커] 일본은 주로 아케이드 게임이나 비디오 게임을 많이 한다고 하죠.
배남영] 2007년 기준 일본 게임시장 규모가 175억 달러인데, 아케이드 케임이 86억달러, 비디오게임이 794억 달러인 반면, 인터넷 게임이 1억 8천만 달러로 적다고 하네요.
앵커] 인터넷을 통한 교육이나 학습을 일명 이러닝이라고 하는데요? 인터넷 이용율이나 교육열로 보았을때 우리나라가 가장 많을 것 같은데요.
배남영] 네, 그렇습니다. 한국 인터넷 이용자의 절반에 가까운 47%가 인터넷을 통해 교육 ? 학습을 하고 있으며, 중국은 16.6%, 일본은 2.5%로 적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구직정보, 이력서 제출 등의 구직활동을 하는 경우, 한중일 3개국 모두
10% 내외로 많지 않았습니다.
앵커] 인터넷 블로그 사용율은 어떻습니까?
배남영] 한국 인터넷 이용자의 40.4%가 본인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블로거이며, 중국의 블로거 비율은 23.5%로 조사되었습니다. 타인 블로그 이용률은 한국이 51.9%로 일본 45.9% 보다 많았습니다.
앵커] 인터넷을 하려면 필요한 것이 컴퓨터인데요. 가구내 컴퓨터 보유율을 알아보셨다고요?
배남영] 일본의 가구 컴퓨터 보유율은 85.0%로 한국 80.4%보다 다소 높았습니다. 가구주 연령별로는 40대이하 가구에서 한국의 컴퓨터 보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50세 이상에서는 일본이 높았습니다.
앵커] 한국갤럽의 배남영 차장과 한중일 3개국의 인터넷 이용실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고맙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