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5-03-14 09:35
물리적 환경으로 인한 스트레가 생긴다.
|
|
글쓴이 :
최고관리자
 조회 : 1,800
|
최근 설계가 잘된 교실에서 공부하면 성적이 오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영국 샐퍼드대 연구팀이 건축 전문 학술지 ‘건물과 환경’ 최근호에 발표한 논문 ‘교실 설계가 학생들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조명, 책걸상 디자인, 벽과 바닥 컬러 등 교실 환경이 초등학생의 성적 변화량에 평균 25%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 동아일보, 조명,책걸상 디자인,벽 색깔 등 교실 설계 좋으면 성적 오른다, 2013.1.9.)
그렇다면 잘 계획된 오피스에서 일하면 직무 만족도와 연관된 업무생산성이 오를까?
오늘날 가장 일반적인 사무실 형태는 오픈 플랜 오피스로 사무직 근로자들의 약 88%이상이 오픈 플랜 오피스에서 근무하고 있다.(퍼시스, 오피스 면적분석 보고서, 2012.) 오픈 플랜 오피스는 부서별 인원의 축소와 증가에 유연성 있게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키고 관리자가 직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 감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프라이버시가 결여되고 업무시 발생하는 대화나 전화소리 등에 의해 업무에 방해가 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공간 배치의 융통성 등으로 인해 업무공간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경제적인 이점 때문에 많은 기업에서 오픈 플랜 오피스로 업무공간을 계획하고 있다. 지금부터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 특성 분석」 연구를 통해 오픈 플랜 오피스에서 물리적 환경 특성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자.
• 연구 제목 :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특성 분석*
(자료 : 유성은;하미경,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 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7 n.8, 2011.8.)
• 연구 방법 : 오픈 플랜 오피스로 계획된 155곳의 업무공간에서 근무하는 144개 기업의 사무직 종사자 1,407명을 편의적으로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성실히 응답한 1,363부를 분석에 사용
* 퍼시스 사무환경연구팀의 자료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임
Q 1. 1. 사무가구, 2. 실내환경, 3. 공간계획 요소 중 전반적인 사무환경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일까?
A : 3. 공간계획 요소로 나타났다. (공간계획 > 사무가구, 실내환경)
Q 2. 사무가구 측면에서는 어떤 요소들이 사무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A : 시각적, 청각적 프라이버시의 수준과 근무자가 경험하는 업무방해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파티션의 높이가 전반적인 사무환경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파티션 높이, 공용 회의가구, 공용 휴게가구, 책상 디자인과 크기가 전반적인 사무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파티션 높이 > 공용 회의 및 휴게가구, 책상 디자인과 크기)
따라서 업무유형에 따라 책상의 크기나 파티션의 높이를 달리하여 업무특성에 맞는 사무공간을 계획하여야 한다. 또한, 의자의 기능성과 디자인 및 안락성, 책상의 이동성, 수납장, 파티션의 기능성과 배선 수용 및 디자인과 색상, 휴게가구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 업무공간 계획을 위한 사무가구를 선택할 때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Q 3. 실내환경 측면에서는 어떤 요소들이 사무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A : 전반적인 공기질, 빛환경, 온도 및 습도, 소음 모두 전반적인 사무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소음이 전반적인 사무환경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소로 나타났다. (소음 > 공기질, 빛환경, 온도 및 습도)
Q 4. 공간계획 측면에서는 어떤 요소들이 사무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A : 개인 업무공간과 사무실의 전체적인 레이아웃, 휴게/탕비공간 면적, 통로, 회의공간 개수가 전반적인 사무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으며, 특히 개인 업무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인 사무환경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소로 나타났다.
(개인 업무공간 > 전체 레이아웃, 휴게/탕비공간 면적, 통로, 회의공간 개수)
또한, 회의 공간의 수와 휴게 및 탕비공간 면적과 위치가 가장 불만족스러운 항목으로 나타나 조직에서 협력업무의 비중이 많아지면서 근무자들의 업무협력을 지원하고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을 알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되어야 한다.
Q 5.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A : 각각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낮으나 전반적인 사무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매개 효과를 통해 직무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를 판단할 때 환경조건이 만족스러울 경우 물리적 환경보다 다른 요소에 더 중점을 두어 생각하지만 환경이 적합하지 않으면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Sundstrom의 연구와 일치하며 사무가구, 실내환경, 공간계획과 같은 사무공간의 여러 물리적 변인이 직원들의 생산성 향상에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준다.
(1986 Sundstrom, E., Work Places : The Psychology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n Offices and Facto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1986.)
|
|